[책 요약] 화폐혁명_앳워크_Part1. 새로운 혁명의 전조
<화폐혁명_Part1. 새로운 혁명의 전조>
비트코인이 나오기 전 상황
2008.09.15 - 세계 금융 위기 발생
2009.01.03 - 비트코인이 탄생 ( 돈거래의 투명성 및 개인의 프라이버시 존중)
2009.01.09 - 제네시스 블록 (할 피니)
2009.10 비트코인 백서 공개 ( 사토시 나카모토 - 해당 인물에 대해서는 사람인지 단체인지 정확히 알지 못함, 여러 가지 추측만 나올 뿐임)
2009.01.03 - 비트코인이 탄생 ( 돈거래의 투명성 및 개인의 프라이버시 존중)
2009.01.09 - 제네시스 블록 (할 피니)
2009.10 비트코인 백서 공개 ( 사토시 나카모토 - 해당 인물에 대해서는 사람인지 단체인지 정확히 알지 못함, 여러 가지 추측만 나올 뿐임)
1918년 - 1차 세계 대전 (파리강화 조약)→ 독일에 과도한 배상금→ 독일은 배당금을 갚기 위해 화폐랑 증가→ 초인플레이션 발생→ 독일의 상황을 벗어나기 위하여 히틀러가 제2차 세계대전 시작
1920년 - 케인즈 <평화의 경제적 결과> 세계화폐 개념을 처음 발표 (방코르)
1944년 - 45개국 700여 명 - 미국(뉴햄프셔주 브레튼우즈)→ 기축통화 (달러 or 방코르)
- 방코르는 실생활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중앙은행끼리만 사용→ 각국 화폐로 변환 사용 (무역전쟁 및 환율 전쟁 예방)
결과 : 세계화폐사용에 대한 케인즈의 주장은 미국이 반대→ 대안으로 89억 규모의 IMF 설립(국제통화기금) / 미국의 달러를 기축통화로 사용, 금본위제 실기 (달러의 일정 가치를 금으로 전환)
브레튼우즈 체제 초기
1947년 - 미국 전 세계 금의 70% 이상 보유 - 서독, 일본의 성장, 베트남전쟁, 국가채무, 통화 팽창 등(달러 발행 증가 시킴)→ 달러 가치 하락 시작
1960년대 - 달러 가치 하락
1964년 - IMF 회의 → 프랑스 세계화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특별인출권(SDR) 제안→ 미국 반대→ 프랑스 드골 (금본위제 주장)→ 드골 프랑스 보유 달러를 미국의 금과 교환 제안→ 미국 찬성
1966년 - 미국 금 보유량 50% 이하
1969년 - 특별인출권 창출 (IMF 회원국은 국제수지(일정 기간에 발생한 국가의 대외경제거래를 기록)가 약화 되면 담보 없이 외화 인출 가능)
1971년 - 달러 통화량 10% 상승→ 서독 브레튼 우즈 체제 탈퇴→ 달러 가치 하락→ 다른 나라들 각국의 달러를 금으로 교환 요청
1971년 8월 15일 - 닉슨 쇼크 - 금 교환 일방적 중지→ 브레튼우즈 체제 붕괴
1973년 - 달러 가치 하락→ 산유국 국제 원유 가격 상승 (석유 파동 → 석유의 생산을 줄이면서 가격 상승)
- 1973년 중동전쟁 (시리아-이스라엘) - 페르시아 만의 6개 산유국(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오만)
1974년 - 포드 대통령 - 금환본위제 폐지
1974년 - 주요선진국 스태그플레이션(물가는 상승,성장 하락)
1974년 - 밀턴 프리드먼(시카고학파) -통화주의 창시자
- 인플레이션/대공황은 통화의 팽창 및 수축이 원인
정부가 인위적으로 화폐의 방향을 결정하면 안 됨, 일정 통화 증가율을 사전에 공시하고 이를 준수(K% 준칙)
화폐는 경제 성장률을 조금 웃도는 수준에서 발행 (독일 연방은행)
1975년 - 미국 키신저 국무장관→ 소련 무기 제한협정, 중국개방, 베트남전쟁 종식, 사우디 비밀조약(왕건 보호 - 석유거래를 달러로→ 기축통화)
1976년 <화폐의 탈국가화> - 화폐 발행의 자유화 주장 - 하이에크→ 중앙은행은 정치적 제약으로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함, 민간에서 화폐를 자유롭게 발행 주장→ 경쟁을 통하여 우수한 화폐만 남음 (현재 블록체인 시장과 비슷한 주장)
1960년대 - 반전운동(히피→ 사이퍼 펑크 운동(정부로부터 개인의 사생활 보호 중시)이 해당 정신 계승 )
1970년대 - 암호는 군대 및 국가 기관에서 사용→ 컴퓨터의 발달 = 암호기술의 발달→ 사이퍼 펑크 운동의 프라이버시 보호 수산으로 암호학이 사용됨.
1990년대 - 인터넷 대중화 → 사이퍼펑크 운동(위키리크스 - 줄리언 어산지) → 정부의 통제, 거대 기업 감시에 반대
2013년 6월 10일 - 에드워드 스노든 - 미국/영국 - 정보기관의 사찰 폭로
암호화폐
1982년 - 암호학자 - 데이비드 차움→ 가상화폐( 디지 캐시 제안→ 은닉 서명 - 거래당사자의 신분/메시지를 노출 시키지 않고 결재 사실을 검증(RSA 확장)
1985년 - <신분 없는 보안 : 빅브리더를 이기는 방법>→ 사이퍼 펑크 운동의 중요한 사상적 배경이 됨.
1990년 - 디지 캐시 창업→ 디지털화된 달러에 해시값 +이캐시 출시→ 은닉 서명, 암호화된 계좌, 이중지급 방지→ 미국 정부의 눈치로 실패
- 비트코인과의 차이점 : 은행과의 연계를 통한 중앙집중 시스템 사용 /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 탈중앙화된 시스템
비트코인의 탄생 배경
1992년 - 사이퍼 펑크 모임 시작 (에릭휴즈, 티머시 메이, 존 길모어 등)→ 정부로부터의 사생활을 중시 (금전거래 포함)
1997년 - 애텀 백 - 스팸, DDoS 공격으로 부터 메일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하여 해시 캐시(작업증명(Pow-Proof of Work) 알고리즘 개발) 제안→ 익명성, 이중지급 방지 → 암호화폐 개발
1998년- 웨이다이- 비머니 백서 - 익명성/분산방지 발행 - 발행거래 통제→ 참여자 DB (해시함수로 암호화 - 서로 연결)→ 현재 블록체인 개념과 유사
- 사토시 나카모토 - 비머니 특성 참고
1998년- 닉 재보 <신의 프로토콜> - 사생활과 계약, 정부와 제3의 신뢰 기관을 연구 - 스마트 계약(이더리움의 주요 기능) 개념 소개- 프로그래밍이 된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이 이행
- 닉 재보(사토시 나카모토 추정 인물) : 비머니 암호화 기술을 참고 - 비트골드 제안
참가자들이 컴퓨터로 암호화된 퍼즐을 풀 때마다 비트골드를 획득 갈수록 퍼즐이 어려워짐
비트코인
2008년 08월 18일 - bitcoin.org 도메인 등록
2008년 10월 - 사토시 나카모토 <비트코인 : 일대일 전자화폐 시스템> 백서 반포→ 블록체인기술과 채굴보상 알고리즘 처음으로 실용화
- P2P 네트워크를 통한 이중지급 방지
조폐제도 또는 중앙기관 배제
참여자 익명성
해시 캐시 기반의 작업증명을 통한 화폐 발행
2011년 -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 - 비트페이 설립(스티븐 페어) / 위키리크스→ 미국 정부에 의해 자금이 막힘 (비트코인 기부금 운영)
2012년 09월 - 비트코인 제단
2012년 10월 - 비트페이 1000개가 넘는 가게에서 결제 수단으로 활용
2012년 불법 마약 거래소(실크로드) - 비트코인 결제 수단 사용
2013년 - 비트페이 - 1만 개의 회사 서비스 제공(리카싱 투자)
암호화폐 의미
- 암호화폐는 기존 통화제도의 문제점 즉 중앙집권 세력에 대한 신뢰 붕괴, 위험성이 노출로 인하여 대안으로 탄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