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월 27일 수요일

화폐혁명(앳워크)_서평(리뷰)

<화폐혁명>

 화폐혁명을 읽게 된 이유는 현재하고 있는 업무와 관련되어서 암호화폐와 관련된 일을 하고 있지만 정확히 화폐라는 것에 대해서 알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관련 화폐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읽게 되었습니다.
책의 내용은 읽기는 어렵지 않았으며, 그냥 쉽게 읽기 원하는 책을 찾는 분이 있다면 권장해줄 만한 책입니다. 다만 내용을 100% 신뢰하는 것보다는 아 이시기에 이런 게 있었구나 하고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읽으면 될 것 같습니다.

화폐혁명
국내도서
저자 : 홍익희,홍기대
출판 : 앳워크 2018.05.30
상세보기








간략히 책의 내용을 설명하면 화폐가 나오게 이유 그리고 화폐가 나오고 난 이후로 어떤 일이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해서 발생한 사건들에 관해서 설명을 잘해 놓으셨습니다. 그리고 화폐가 발생하여서 현대 경제 구조가 어떻게 발전되어서 어떤 흐름으로 흘러가는지 그 흐름 속에서 암호화폐가 나오게 된 것은 당연한 사건이라고 설명을 해주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으로 글을 읽으면 전체적인 화폐의 흐름에 대해서는 알 수 있어서 좋습니다. 하지만 저자의 개인적인 의견도 중간중간 뜬금없이 들어간 부분이 있어서 책을 읽는데 간혹 흐름이 끊기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 인물을 천재라고 표현을 하거나 어떤 사람에 대해서 그 사람의 업적보다는 그 사람의 인종에 대한 부분을 좀 더 내세우는 듯한 느낌이 있었고, 한 국가 또는 시대가 발전하여 멸망하는 것의 중심을 화폐로 잡아서 그런지 화폐가 발생하고 발전하고 발행이 되면서 국가 또는 시대가 발전하고 그 발전한 시대 및 국가가 과도한 화폐 발생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결국에는 망하는 절차를 밟는다는 뉘앙스가 강했습니다. 물론 화폐로 인하여 발생한 문제도 있겠지만 그 외 정치, 외교, 문화 등의 요소들도 있을 텐데 그런 부분은 약간 배제된 느낌이 들었습니다.
위에 적은 것과 같이 책은 화폐가 발생된 이유에서 결국에 왜 암호화폐가 나올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서 풀어 놓았습니다. 이 흐름으로 기초적인 기식을 쌓기 위한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그리고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이 책을 100% 신뢰하기보다는 흐름 파악용으로 읽으셨으면 좋겠습니다.

KYC(Know Your Customer) 란

KYC(Know Your Customer) 란


암호화폐 열풍이 불면서 함께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 중의 하나가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사람들에 대한 신분을 보장하는 것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이유는 화폐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어떤 목적으로 투자를 하는지에 대한 이슈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국내외 대부분의 사람은 투자(국내는 투기가 컸다고 생각합니다.)의 목적이었으나 일부 자금은 투자라기보다 자금 세탁 또는 불법 자금의 운용 등 범죄의 목적으로 암호화폐에 자금이 흘러가는 일들이 발생하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암호화폐 초기에는 실크로드라는 마약 거래 사이트에서 비트코인으로 거래가 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대안으로 나온 것이 현재 금융권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KYC/AML이었습니다. KYC는 Know Your Customer 의 약자로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것이고 AML은 Anti Money Laundry 의 약자로 자금 세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범죄의 목적으로 자금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KYC/AML을 기존 금융권 등에서 사용하고 있었으며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ICO 등이 진행될 때 KYC/AML을 기본적으로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에 KYC를 많이 진행하는 곳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도 많이 하고 있는데 인증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신분증 인증, 주소지 인증, 사용자 얼굴인증 등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게 국내 같은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주민등록번호는 수집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http://www.law.go.kr/법령/개인정보보호법/(20171019,14839,20170726)/제24조의2)  만일 KYC 인증을 진행 할 경우 주민등록번호를 가리고 올 이하는 가이드 없이 수집하고 있다면 그것은 법을 위반하는 사항이므로 절대 진행하시면 안 됩니다.

KYC 진행과 관련되어서 국내법을 지키면서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곳이 있어서 함께 링크를 첨부하니 혹시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접속하셔서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공유] IP Scanner 도구

<IP Scanner>


오늘 공유할 내용은 사내외적으로 IP를 관리할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IP Scanner 리스트 입니다.
  1. Free IP Scannerhttp://www.eusing.com/ipscan/free_ip_scanner.htm
    이미 많이 사용하고 있는 무료툴로 사용방법이 어렵지 않습니다. UI가 굉장히 클래식합니다.
  2. IP Address Manager - https://www.solarwinds.com/ip-address-manager해당툴은 일정기간 사용할 수 있는 트라이얼 버전으로 정식버전을 일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 할 수 있습니다. UI가 깔끔하고 사용하기 어렵지는 않습니다.
  3. Angry IP Scanner - https://angryip.org/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툴이 아닐까 싶습니다.

  4. IP Scanner by Spiceworks - https://community.spiceworks.com/tools/ip-scan/
    가입을 해야만 다운을 받을 수 있으며, 저도 개인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해보지는 않았습니다.
  5. Network Scanner - https://lizardsystems.com/network-scanner/
    전체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는 건 약 10일정도 밖에 안되지만 IP만 확인하는거라면 나쁘지는 않습니다.
  6. Advanced IP Scanner http://www.advanced-ip-scanner.com/kr/
    스캔한 IP가 윈도우라면 원격 및 공유 폴더 등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버전은 윈도우만 지원을 합니다.
  7. IP Range Scanner https://www.lansweeper.com/feature/ip-scanner/
    해당 툴도 무료로 사용은 가능하며, 여러가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IP만 관리하기 위한 용도라면 기능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8. NMAP - https://nmap.org/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해당 툴이 IP관리 툴의 원조격이 아닐까 싶습니다.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현재는 윈도우 버전도 나와서 UI가 많이 좋아 졌지만 과거에는 CLI 버전 밖에 없었던것으로 기억 합니다. CLI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최강의 툴이 아닐까 싶습니다.
출처 : https://geekflare.com/network-scanner/

2019년 2월 26일 화요일

[기사공유] 안랩, ‘V3 라이트’ 출시

<안랩, ‘V3 라이트’ 출시>

안랜에서  개인 사용자용 V3 랜섬웨어 까지  탐지 및 차단이  가능한 버전이 나왔다고 합니다.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는 기사 본문을 확인 하시면 됩니다.
관련기사 : http://www.bi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22692
"기존 V3 라이트의 악성코드 탐지 및 차단 기능에 ▲안티랜섬웨어 툴(Anti Ransomware Tool) 통합으로 ‘랜섬웨어 정밀 검사기능’ 제공 ▲중요한 정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개선한 메인 UI를 적용하는 등 랜섬웨어 대응 기능과 UI를 추가했다."

[기사 공유] 갤럭시S10에 비트코인·이더리움·엔진·코스미가 들어간다

<갤럭시S10에 비트코인·이더리움·엔진·코스미가 들어간다>

어제 공유했던 기사의 연장선으로 오늘은 갤럭시S10에서 지원하는 암호화폐 지갑이 지원하는 코인이 어떤것인지에 대해서 나왔습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워낙 유명해서 알고 있지만 엔진과 코스미라는 코인은 처음 들어보는 코인입니다. 

기사일부
"삼성전자는 이날 현지에서 ‘삼성 모바일 비즈니스 서밋’이라는 행사를 열고 ‘5G 시대’에 대해 발표했다. 이 행사엔 삼성전자의 초청을 받은 제휴사와 고객 수백여명이 참여했다. 삼성전자가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발표 자료에는 ‘블록체인’, ‘디지털 ID’, ‘디지털 지갑’이라는 단어 아래 비트코인, 이더리움, 엔진, 코스미의 로고가 담겼다."

[기사공유] 갠드크랩 랜섬웨어 담긴 ‘헌법재판소 소환장’ 이메일 출현

<갠드크랩 랜섬웨어 담긴 ‘헌법재판소 소환장’ 이메일 출현>


25일에는 경찰청과 인보이스 또는 송장으로 속인 악성 스팸메일에 대한 메일을 공유하였는데 오늘은 헌법재판소로 속여서 발송하는 스팸메일에 대한 내용입니다. 

악성코드를 감염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의 많은 노력을 하고 았는데 이왕이면 이런 노력을 더 좋은 방향으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기사일부
"25일 새벽 ‘헌법재판소’를 사칭한 이메일로 갠드크랩 랜섬웨어 v5.2 버전 유포 공격이 무차별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이번 공격은 이메일 제목은 ‘대법원’을, 메일 내용에는 ‘헌법재판소’를 각각 명시한 것은 물론, 본문의 어색한 한글 사용과 첨부파일을 제대로 첨부하지 못하는 등 ‘어설픈 모습’도 함께 드러내고 있다. "

2019년 2월 25일 월요일

[기사공유] 아이콘,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블록체인 개발 환경 제공한다

<아이콘,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블록체인 개발 환경 제공한다>


국내 블록체인 기업중 하나인 아이콘에서 AWS 에 아이콘의 테스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했다고 합니다. 아이콘은 현재 코인마켓캡에서 2019년 02월 25일 현재 44위에 랭크되어 있으며 100위안에 위치해 있는 국내 유일 기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기업에서 이렇게 하나씩 서비스를 위해서 앞으로 전진하고 있는 모습이 너무 보기 좋습니다.

기사일부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이번 APN 어드밴스드 기술 파트너 선정으로 아이콘루프는 블록체인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인정받았다”라며 “앞으로도 AW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 블록체인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 및 비즈니스 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기업·기관 타깃 ‘송장·인보이스’ 악성메일 유포

<국내 기업·기관 타깃 ‘송장·인보이스’ 악성메일 유포>



해당 기사는 메일로 인보이스 또는 송장이라는 파일명으로 doc, xls 확장자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을 경우 PC를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되며, 이 밖에도 사용자 정보 수집, 권한 상승 등 다양한 악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회사에서 구매 또는 경영지원, 총무 등의 부서에서 인보이스 또는 송장과 관련된 메일을 많이 수신하므로 관련된 부서에서는 메일과 관련되어서 주의해야 할 듯합니다.
관련되어서 보안뉴스에서 <악성 메일 공격 사례와 대응방안>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함께 공유해 드립니다.

2019년 2월 24일 일요일

Retired Security Checklist

<Retired Checklist>

1. Account Management

2. Documents

3. Check Mail

4. Mobile Device

5. Phygical Access

6. Asset

7. Server Account

8. Security pledge


퇴사자 보안(체크 리스트)

<퇴사자 체크리스트>

회사에서 퇴사자가 발생했을 경우 아래 리스트는 반드시 체크를 해야 합니다. 모두 다 알고 있을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합니다. 

1. 계정관리

- 사내에서 사용하는 모든 계정을 삭제 또는 정지시켜야 합니다. (PC 계정, 그룹웨어, ERP 등)

2. 자료 관리 (R&R)

- 간혹 일부 직원이 안 좋은 일로 퇴사할 경우 중요 파일을 삭제하거나 자신의 PC를 포맷하고 퇴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니 최사자 R&R에 따라 자료가 정확히 인수인계가 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메일 확인

- 퇴사 시 일부 직원은 자신의 메일을 삭제하고 퇴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메일도 중요자산 중에 하나이기에 물론 별도 백업이 진행되어 있어야 하지만 정확히 백업되어 있는지 혹시나 삭제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모바일 기기

- Exchange 등을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 등에 메일을 연동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해당 기기에 대한 연결된 정책을 정확히 해지해야 퇴사 이후에 해당 직원 모바일 기기로 메일이 발신되는 이슈를 막을 수 있습니다.

5. 출입 권한

- 일부 팀장급, 임원급 또는 특수 직무를 담당하고 있던 직원이 일부 영역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으니 출입 권한에 대한 부분도 확인해야 합니다.

6. 자산 반환

- 자산에 대한 부분은 대부분 총무 분야에서 담당하고 있지만, 정확히 해당 자산이 반납되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았는지 퇴사자의 자산관리 부분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7. 서버 권한

- 일부 서버를 관리하거나 개발 사유로 사내외 서버에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던 직원일 경우 이 부분도 확인해야 합니다. 만일 클라우드 등을 관리하고 있었다면 외부에서도 충분히 접근할 수 있으므로 꼭 관리해야 하며, 만일 가능하다면 접근이 가능할 수 있는 서버에 대해서는 패스워드 변경도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8. 보안 서약서

- 기본적으로 진행되는 서류중에 하나이지만 혹시나 발생될 수 있는 보안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요건으로 반드시 퇴사시에도 보안서약서를 받아야 합니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_개정안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_개정안>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지정과 관련되어서 개정안이 나와서 공유해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서 확인 가능하시면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지정·신고 제외 대상자의 범위(안 제36조의6제1항)

ㅇ 임원급 정보보호 최고책임자를 지정·신고해야 하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범위에서 소기업, 소상공인을 제외함

ㅇ 단, 소기업 중 정보통신 관련성이 높은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의무 대상자, 전기통신사업자는 최고책임자를 지정·신고하도록 함

나. 정보보호 최고책임자의 겸직금지(안 제36조의6제2항 신설)

ㅇ 정보보호 최고책임자의 업무 이외에 다른 업무를 겸직할 수 없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범위를 자산총액 5조원 이상인 자,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을 받아야 하는 자 중 자산총액 5천억원 이상인 자로 함

다. 정보보호 최고책임자의 자격요건(안 제36조의6제3항 신설)

ㅇ 정보보호 최고책임자의 자격요건을 직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보호 또는 정보기술 관련 전문지식이나 실무 경험이 풍부한 자로 함

ㅇ 단, 겸직이 금지되는 정보보호 최고책임자는 상근하는 자로서 타 회사의 임직원이 아닌 자로 하고, 4년 이상의 정보보호 분야 또는 5년 이상 정보기술 분야(정보보호 2년 포함)의 경력을 구비 하도록 함

2019년 2월 23일 토요일

[사이트 공유] 이직 또는 취업시 도움되는 사이트

<이직 또는 취업시 도움되는 사이트>

공유할 사이트는 이직 또는 취업 시에 내가 지원할 회사에 대해서 좀 더 객관적이면서 주관적인 리뷰를 확인할 수 있은 커뮤니티 사이트를 게시할까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이직 준비할 때 해당 기업에 대해서 자료 조사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된 사이트입니다.
해당 회사에 전·현직 직원이 직접 리뷰를 남기고 평가를 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알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 알 수 있으며, 내가 원하는 연봉 또는 내가 제시하고자 하는 연봉에 대해서도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충이라도 조사를 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1. 잡플래닛

- 대중적으로 많이 알고 있는 사이트이며, 해당 사이트가 생기고 나서는 한때 잡플래닛 사람들이 취업 설명회 등에 참석하면 많은 사람이 주목을 했다고 하는 사이트입니다. 그만큼 취업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사이트인데, 간혹 회사에서 회사 이미지 관리를 위해서 경영지원팀(?) 또는 관련자들이 글을 올리는 경우도 있으니 그런 건 알아서 걸러서 보면 괜찮은 사이트입니다.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현재 회사의 분위기 및 연봉, 그리고 각 조직의 분위기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단점이라면 아무래도 직원들이 직접 올리다 보니 최신 정보에 대해서는 바로 알 수 없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다녔거나 다니고 있는 회사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 작성해야 다른 회사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니 신입사원들은 보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그런 건 어느 정도 개인이 알아서 처리(?)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2. 블라인드

 해당 사이트는 웹으로는 제공되지 않고 앱으로만 제공이 되며 신규입사자는 가입할 수 없고 기존에 재직 중인 사람들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에 일정 인원이 가입하여야 회사 게시판 및 글 등도 작성할 수 있어 제약사항이 있지만, 가입 이후에는 내가 원하는 회사 및 기타 정보에 관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익명으로도 글이 작성 가능합니다.


3. 잡데이터

이번 사이트는 회사에 대한 평균 연봉 및 입 퇴사율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아무리 연봉을 많이 주는 회사라 하더라도 퇴사율이 높다면 이유가 있는 거겠죠? 구직자의 최고의 조건은 연봉도 높고 복지도 좋고 입사하고 퇴사하기 싫은 직장 이런 곳을 찾으니 모두 다 만족하는 회사를 찾을 수 없겠지만 연봉은 구직 시 가장 중요한 조건 중에 하나이니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추가로 임금이 제대로 지급되고 있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곳은 믿고 걸러야겠죠.

4. 크레딧잡

해당 사이트도 잡데이터와 비슷하게 연봉 및 입퇴사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리뷰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회사에 대한 언론 기사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원티드

 원티드는 구직사이트로 대기업들도 많이 올라오기는 하지만 스타트업 취업 정보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누군가를 해당 회사에 추천도 할 수 있으며 추천할 사람이 취업이 될 경우 일정의 보상금도 받을 수 가 있습니다. 그리고 부가적인 이력서 컨설팅 서비스 등도 지원해 주고 있는데 이건 일정 금액을 지불해야 지원 받을 수 있으므로 그냥 내가 원하는 또는 내가 원하는 직무에 어떤 회사가 모집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때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6. 로켓펀치

해당 사이트는 일반 대기업보다는 신규 신타트업에서 게시되는 취업 정보가 많으며, 현재 해당 회사에 근무 중인 사람들이 누가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사람이 등록했을 경우에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단한 기업 소개 및 현재 해당 기업에서 게시 중인 채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생기업을 원하시는 분들은 여기서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할 듯 합니다. 스타트업은 위에 소개한 잡플래닛 등에 간혹 리뷰가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URL : https://www.rocketpunch.com/



[기사공유] [긴급] 기업 윈도우 서버 공격하는 신종 랜섬웨어 ‘떴다’

<[긴급] 기업 윈도우 서버 공격하는 신종 랜섬웨어 ‘떴다’>


 22일 한국인터넷 진흥원(KISA)에서 윈도우 AD 서버를 감염시키는 "클롭"이라는 신종 랜섬웨어가 발견되어 긴급공지를 하였습니다. 사내에서 중요한 백업 서버 자료를 감염시킨다고 하니 주의하셔야 할 듯 합니다. 어디서 듣기를 "운영을 제대로 못 하는 것은 넘어가 줄 수 있어도 백업을 제대로 못 하는 것은 넘어갈 수 없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만큼 백업 자료는 중요하다는 의미이겠죠.


공지에 나와 있는 랜섬웨어 가이드로 함께 링크 합니다. 

2019년 2월 22일 금요일

[영화 추천] 리미트리스_2011년작

<리미트리스_Limitless>

해당 영화를 다시 보게 된것은 얼마전 Netfilx에 <리미트리스>라는 드라마를 보게 되면서 입니다.
똑같은 이름의 작품을 드라마화 한 리메이크 작인줄 알고 봤는데 그게 아닌 영화의 연장선상으로 드라마를 만든 것이었습니다. 그것을 알게 된것을 영화를 먼저 보시고 드라마를 보시면 이해를 하시게 될 겁니다. 이 드라마도 리뷰하겠지만 괜찮은 드라마 입니다.

영화의 주인공은 브래들리 쿠퍼로 얼마 전에 개봉한 우리가 가수로 알고 있는 레이디 가가와 함께 주인공으로 나오는 <스타 이즈 본>의 주인공 겸 감독입니다.
그리고 얼굴이 나오지 않고 어벤져스와 갤럭시오브 가디언즈에서 귀요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라쿤의 목소리 역으로도 나오고 있습니다.
영화 이야기로 들어가서 모든 것을 이야기하면 스포일러가 되니 짧게 작성하겠습니다. 해당 영화는 소설 The Dark Fields가 원작이며 국내에서는 흥행하지 못했지만, 세계적으로는 어느 정도 성공한 영화입니다. 개인적으로 엔딩이 보고속편이 나올 거라고 생각했는데 드라마로 나올 줄 몰랐습니다. 개봉은 2011년에 했는데 국내에서는 2012년도에 개봉하였습니다.
주인공은 거의 망해가는 작가로 나오는데, 소설을 써야 함에도 쓰지 못하고 방황해 가는 가운데, 우연히 옛친구를 만나 자신의 상황에 대해서 이야기했고 그 친구는 주인공에게 NZT 라는 알약을 먹어보라고 주었습니다. 주인공은 그때부터 터 자신의 뇌를 100% 활용하여 그동안 쓰지 못했던 소설도 쓰고 주위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약에 의존하면서 생기는 일에 대해서 영화에 표현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도입부나 결말 등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스토리로 진행되지 않고 반전 아닌 반전이 있는 영화로 그 당시 저는 굉장히 재미있게 봐서 기억에 남아 있던 영화였습니다.
아직 Netflix의 리미트리스를 보고 있지만 이 영화를 보고 드라마를 보시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될 수 있는 소재가 있습니다.
약간의 반전과 스릴러(?)를 즐기시는 분이라면 한 번쯤 봐도 후회는 없을 영화라고 생각됩니다.

[자료 공유] 전자금융과 금융보안 제15호

<전자금융과 금융보안 제15호>


금융 보안원에서 나온 자료 공유해 드립니다.
금융과 관련된 트렌드 및 사례들에 대해서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배포일 : 2019년 2월 8일

문의 : 연구총괄팀
=====================================================
< Leading Article >
- 보안은 '사람'과 '소통'이다 (김도형, 삼성증권CISO)

< Research >
- 2019년 전자금융트렌드 이슈전망
- 2019년 금융권보안위협 전망
- 익명화 데이터의 익명 결합 방법

< Issue · Trend >
- 산업동향
 · 싱가포르 QR코드 결제서비스 규격개발 동향
 · 모바일 결제 서비스 지원 기술별 표준화 현황

- 핀테크·신기술
 · 인공지능(AI) 기술의 이중성 및 취약성으로 인한 보안 위협과 금융권 대응방안
 · 영지식 증명의 개념 및 활용 사례

- 법·정책
 · 베트남 사이버보안법 시행령 제정령안의 주요내용 및 시사점
 · 美국가 사이버전략 주요내용 및 시사점
 · 싱가포르 「전자지급결제 소비자보호 가이드라인」 주요내용 및 시사점

< News · Notice >
- 금융보안 교육 안내
- 금융보안원 소식
- 사원사 소식